주휴수당 조건 1일 1분 금융, 경제용어
안녕하세요. 오늘의 경제용어입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무일을 완료한 경우 유급휴일(평일휴일)에 지급되는 수당을 말한다.
근로기준법 제55조: 사용자는 1주간 소정의 근로일수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근로일을 모두 마친 근로자에게는 주당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18조: 4주간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는 주급 지급에서 제외됩니다.
휴가수당. 주휴수당 조건의 주요 요건: 주당 규정된 근무일 전체 출석;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 유급휴일에 지급되는 임금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나 아르바이트를 하시는 분도 조건만 갖추면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그럼 조건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적용사례 주휴수당 기준 기존기준 : 1주완결 + 8일근무 예정시에만 발생함. 기준 변경(2023년 8월) : 근무 여부와 관계없이 1주간 완전 출석 시 주휴수당이 지급됩니다.
#주휴수당 #주휴수당 지급기준 #클럽원챌린지 #하이라이트챌린지 m.blog.naver.com
이해를 돕기 위해 영상을 제작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부터는 일주일만 완벽하게 일하면 향후 근무여부와 관계없이 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고용주가 모른다면 먼저 알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으로 계산합니다.
시간 20시간 시급 : 10,000원 주휴수당 계산 : (20시간 ¼ 40시간) × 8시간 × 10,000원 = 40,000원
주휴수당과 종합임금제의 관계 포괄임금제는 휴일수당을 기본급에 포함하여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고용계약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명시합니다.
임금명세서에는 별도의 주휴수당 항목을 기재합니다.
주의 주휴수당이 임금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가 보장의무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실제로 휴일 없이 일하면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도 있다.
단시간근로자 주휴수당 계산방법 40시간 미만 단시간근로자 주휴일수당 계산 단시간근로자 주휴일수당 = (1주 근로시간 / 40) × 8 8 주휴일 미지급 수당은 임금을 미지급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2년 이하의 징역,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소규모 자영업자 중에는 무지나 어려움으로 인해 주휴수당을 활용하지 못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처벌이 이렇게 강하니 꼭 숙지하시고 직원들에게 처리를 부탁해주세요!
요약하자면
항목 내용 정의 1주간의 완벽한 근무에 대해 지급되는 유급휴가수당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요건, 소정근로일(일당 소정근로시간) 전근근 산정방법 법적 책임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최대 징역형 2년 이하, 2천만원 이하 벌금
예. 이상으로 주휴수당 표준요건과 주휴수당 산정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기본권입니다.
파트타임이든 풀타임이든 근로자는 근로계약을 통해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용주는 명확한 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며, 공정한 주휴수당을 지급함으로써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친구추가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놓치지 않으실 거예요